2019. 10. 16. 19:13
암호화폐
반응형
안녕하세요. 내친구 카이 입니다.
어제 장어 낚시의 피곤함을 오전 내내 숙면으로 달래고 컴퓨터 앞에 앉았습니다.
오늘은 암호화폐에서 늘상 쓰이는 토큰과 코인에 대해서 간단히 포스팅 하겠습니다.
토큰
개별 플랫폼이 없이 다른 코인의 플랫폼에서 생성된 것을 토큰이라고 합니다.
지금은 코인이 되었지만 이오스나 트론도 ERC-20이라는 이더리움플랫폼에서 시작된 토큰이었습니다.
쉽게 설명하면 자기 집이 없어서 남의 집에서 월세사는 세입자라 보시면 됩니다.
아직은 기술력이 자기집을 만들 정도가 아니기에 남의집에 살면서 열심히 기술력을 배양하여 자기집을 만들어 나가고 이를 완성하면 스왑이라는 과정을 거쳐 온전히 자기집으로 이사를 하는 과정을 거치면 코인이 됩니다.
이 전까지를 토큰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현재 수많은 토큰들이 이더리움플랫폼을 기반하여 만들어 지고 있습니다. 트론이나 스텔라기반 토큰들도 많지만 역시 대세는 이더리움 입니다.
코인
위에 언급한 거와 같이 자체 플랫폼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암호화폐를 말합니다.
온전히 자기집이 존재하기에 자체적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사업영역을 확장해 나가는 일이 더 유리하겠죠?
쉽게 다시 말씀드리면 집이 있고 없고에 따라 토큰과 코인으로 분류된다. 쉽죠?
반응형
'암호화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라이버시코인이란? (0) | 2019.09.26 |
---|---|
리플 (XRP) (0) | 2019.09.11 |